Python/백준

🌟 백준 2444 - '별 찍기 - 7' 문제 풀이 가이드#Python

고발초이이 2024. 6. 9. 01:48
반응형
SMALL

🧩 문제 이해하기

상상해봐요! 여러분이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가가 되어 특별한 모양의 별 장식을 만드는 임무를 받았어요. 우리의 임무는:

  1. 트리의 크기(N)를 정하기
  2. 위쪽 삼각형 모양으로 별을 늘려가며 장식하기
  3. 아래쪽 삼각형 모양으로 별을 줄여가며 장식하기
  4. 완성된 별 장식 모양 보여주기

🔧 필요한 파이썬 도구들

1. 🔢 range() 함수

별의 개수를 조절하는 마법 지팡이예요.

for i in range(1, 6):  # 1부터 5까지
    print(i)

2. 🖨️ print() 함수

별 장식을 화면에 그려주는 붓이에요.

print("*" * 3)  # 별 3개 출력: ***
print("Hello", "World", sep=", ")  # Hello, World

🚀 문제 해결 단계

  1. 트리의 크기(N) 입력받기
  2. 위쪽 삼각형 별 장식하기
  3. 아래쪽 삼각형 별 장식하기

💻 파이썬 코드로 구현하기

# 1. 트리의 크기(N) 입력받기
N = int(input())

# 2. 위쪽 삼각형 별 장식하기
for i in range(1, N+1):
    spaces = " " * (N-i)
    stars = "*" * (2*i-1)
    print(spaces + stars)

# 3. 아래쪽 삼각형 별 장식하기
for i in range(N-1, 0, -1):
    spaces = " " * (N-i)
    stars = "*" * (2*i-1)
    print(spaces + stars)

🧠 코드 설명

  1. N = int(input()): 트리의 크기를 정해요.
  2. 위쪽 삼각형 만들기:
    • range(1, N+1): 1부터 N까지 반복해요.
    • " " * (N-i): 별 앞에 올 공백을 만들어요.
    • "*" * (2*i-1): 홀수 개의 별을 만들어요.
  3. 아래쪽 삼각형 만들기:
    • range(N-1, 0, -1): N-1부터 1까지 거꾸로 반복해요.
    • 공백과 별은 위쪽 삼각형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요.

🌟 예제로 이해하기

입력 예시:

5

과정 설명:

  1. N = 5로 트리 크기를 정해요.
  2. 위쪽 삼각형 (1 ~ 5줄):
        *     (공백 4개, 별 1개)
       ***    (공백 3개, 별 3개)
      *****   (공백 2개, 별 5개)
     *******  (공백 1개, 별 7개)
    ********* (공백 0개, 별 9개)
  3. 아래쪽 삼각형 (6 ~ 9줄):
     *******  (공백 1개, 별 7개)
      *****   (공백 2개, 별 5개)
       ***    (공백 3개, 별 3개)
        *     (공백 4개, 별 1개)

출력 예시:

    *
   ***
  *****
 *******
*********
 *******
  *****
   ***
    *

💡 팁

  • 문자열 곱하기("*" * 3)를 사용하면 반복되는 문자를 쉽게 만들 수 있어요.
  • range()의 세 번째 인자는 스텝(step)이에요. -1을 사용하면 역순으로 숫자를 생성할 수 있어요.
  • 공백과 별의 개수 규칙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. 규칙만 알면 코드는 간단해져요!

🎉 마무리

이렇게 하면 멋진 별 모양 장식을 만들 수 있어요!
이 문제를 통해 반복문 사용법, 문자열 다루기, 그리고 패턴 찾기 능력을 기를 수 있었어요.
이제 여러분은 파이썬으로 아름다운 별 모양을 그리는 예술가가 되었어요! 다음엔 어떤 모양을 그려볼까요? 🎨✨

반응형
LIST